모두의 애니(Ani4All)/이세계 유유자적 농가

이세계 유유자적 농가 1기 6화. 마을입니다.(줄거리, 다시 보기)

혀뉘남편 2025. 4. 30. 08:35
반응형

대표 이미지

와이번의 공격을 막고 있는 루와 티어

 

줄거리

와이번의 등장으로 끝이 났던 5화에 이어, 6화.. 드디어 이야기의 절반까지 왔다.

추천 애니, 이세계 유유자적 농가 6화


마을을 침입해 온 와이번.. 

그냥 지나갈 수도 있지 않을까 했던 기대를 저버리고 입안에서 불덩이를 만들어 마을을 향해 날린다.

티어와 루는 긴급히 방어막을 펼치고, 간절히 마을을 지켜야겠다고 생각하던 히라쿠의 손에 만능 농기구의 능력으로 창이 쥐어진다. 

 

와이번을 향해 힘껏 창을 날리는 히라쿠. 

와이번의 첫 번째 방어막, 두 번째 방어막, 세 번째 방어막이 모두 뚫리고, 그대로 와이번의 날개마저 뚫어 버린다. 

히라쿠의 창에 관통당한 와이번은 그대로 추락한다.

만능농기구를 창으로 만들어 와이번에게 날려버린 히라쿠

 

 

와이번이 추락한 곳을 찾아간 히라쿠 일당과 인페르노 울프. 

히라쿠는 와이번을 먹을 수 있는지 물어보는데..;;;

(와이번의 출현으로 평온한 삶이 끝나는 건가 걱정했는데.. 다시 요리로 돌아왔다~*^^*)

 

와이번의 허벅지 부위로 만든 스파이스 구이,

나뭇잎에 싸서 쪄낸 가슴살 부위,

채소와 함께 스튜로 끓여낸 꼬리 부분 요리 등 모두 함께 와이번 고기를 실컷 즐겼다.

와이번으로 요리한 스테이크, 마을 주민들과 나눠먹는다.

 

 

와이번을 단창에 무찔렀다는 소문은 인근의 마왕성과 용의 둥지에까지 퍼져나간다. 

와이번 고기를 먹으면서 뭔가 부족함을 느꼈던 히라쿠는 와인을 만들기로 하는데, 하이 엘프 무리들도 정말 좋아한다.  

한편 세계를 관리하는 신이 히라쿠에게 농기구가 아닌 창을 준 것에 대해 농사의 신이 길길이 화를 내는데..

알고 보니 농사의 신은 세계를 관리하는 신의 딸이었다.. 약간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신들을 보는 듯한 느낌이다..;;

또한 히라쿠가 자신 모습을 노인의 형태로 조각한 것에 대해서도 화를 내는 농사의 신이다. 

(이번 화에 써먹으려고 그동안 신의 얼굴을 보여주지 않고 있었던 걸까..;;;)

히라쿠가 와이번을 제압했다는 소식을 전해들은 마왕성과 용왕성

 

 

평온함도 잠시, 또다시 데몬 스파이더의 경고음이 울리는데, 다행히 자주 보던 상황이다..

이번 침입자는 플로라라는 이름의 뱀파이어였는데, 루의 사촌 동생이었다. 

플로라는 귀인족 메이드(대표는 앤 이다.)를 잔뜩 데리고, 암소 두 마리와 함께 마을로 왔다. 

뱀파이어와 귀인족 무리, 하이 엘프 무리, 인페르노 울프 무리, 데몬 스파이더 무리...

자신만 혼자인 것에 티어는 살짝 두려움을 느낀다.

그리고 다수의 부하들을 데리고 마을로 돌아온다. (좌측부터 리자드맨 대표인 다가, 천사족 코로네, 그린마리, 구델이다.)

플로라와 귀인족 메이드, 티어가 데려온 리자드맨, 천사족

 

 

히라쿠는 귀인족에게 다양한 요리방법을 알려주고, 그녀들은 요리의 재미를 알게 된다. 

천사족 3인방은 주변 경계를 맡았고, 리자드맨들은 토목공사에 대한 노동력을 증가시켰다. 

남아있던 하이 엘프 무리들이 마을로 이주해 왔다. 

 

많은 무리가 함께 생활하게 되어 마을의 이름을 짓고자 하는 히라쿠, 

마을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상징과도 같던 큰 나무를 보고 마을 이름을 "큰 나무 마을"로 정한다. 

마을 이름을 지은 것에 대해 모두 함께 축배를 들고, 

티어는 히라쿠에게 앞으로도 다 같이 즐겁게 살 것이라는 이야기를 해준다. 

큰 나무 마을의 축제

 

 

이번 화에서는 처음에 와이번이 등장해 자칫 판타지 데몬 사냥물로 변화되는 건가 하는 걱정을 했는데,

다행히 마을은 더욱 번성하고 평화로운 삶은 유지된다.

 

모두 함께 와인을 만들고 즐기는 모습에서 다시 찾은 평온함을 느낀다. 

이번 화도 유유자적하고 힐링이 되는 삶이었다. 

 

다음에 또 만나요~~*^^* 

 

 

빠르게 다시 보기

이세계 유유자적 농가 1기 6화. 마을입니다.(다시 보기)

 

 

 

 

반응형